"주 1회 이상 성관계 꾸준히 하면"... 조기폐경 늦춘다고?

성관계가 폐경 시기를 당기거나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왕립학회 오픈 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성관계를 갖는 여성은 빈도가 낮은 여성에 비해 조기에 폐경을 맞이할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런던대 연구진은 평균 연령 45세의 여성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했다.
대부분의 참가자는 결혼했거나 연애 중으로 파트너와 함께 살았다. 참가자 중 처음부터 폐경에 이른 여성은 없었지만, 46%는 초기 폐경 전기로 일부 증상을 경험했고 54%는 전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폐경 전이었다. 연구진은 10년 동안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건강과 라이프스타일, 특히 최근 6개월 동안의 성 활동에 대해 설문 조사를 했다. 섹스는 대체로 성교, 구강 섹스, 애무 또는 자위로 정의됐다. 연구가 끝날 무렵, 참여자의 45%가 폐경에 접어들었으며, 평균 연령은 52세였다.
연구 결과 모든 연령대의 여성 중 매주 성관계를 갖는 여성은 한 달에 한 번 이하로 성관계를 갖는 여성에 비해 조기에 폐경을 맞이할 가능성이 2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달 성관계를 갖는 여성은 성관계 빈도가 낮은 여성에 비해 조기에 폐경을 겪을 가능성이 19% 낮았다. 에스트로겐 수치, 체질량 지수, 흡연 습관, 첫 월경 주기 나이 등의 요소를 조정한 후에도 이러한 연관성은 일관되게 유지됐다.
연구팀의 매건 아노트 박사는 “성 활동 감소로 인해 임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신체가 배란 과정에 에너지를 분배하는 것이 유익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대신 신체는 가족 돌보기와 같은 다른 활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이론은 ‘할머니 가설’로 불리며, 폐경은 원래 인간에게 여성 세대 간의 생식 갈등을 줄이고 여성이 손주에게 투자해 포괄적 적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진화했다”라고 덧붙였다.
에디터 soxak@soxak.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