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키스를 할까? '키스의 과학'
키스에 대한 연구에 전념하는 분야인 ‘키스학’ (philematology)이 최근 생겨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키스의 과학’ 또는 ‘키스의 기술’이라고도 부른다.
키스학 연구자들은 최근 수년 동안에 걸쳐, 사람들의 입술이 만날 때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파악하는 데 많은 지력을 쏟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혀를 이용한 프렌치 키스, 오랫동안의 진한 키스, 목덜미 키스, 단순한 키스 등 다양한 키스를 과연 왜 하는 것일까?
1. 배가 고파서 키스를 시작했을지도 모른다
키스 연구의 초창기에, 과학자들은 원숭이들에게 관심을 보였다. 원숭이가 인간들이 하는 ‘길고 열정적인 키스’(liplocking)의 진실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뱃속에서 꼬르륵 소리가 날 때, 영장류가 키스를 하기 시작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1915년쯤의 일이다. 연구자들은 성체 침팬지들 사이에서 키스와 비슷한 행위를 목격했다. 하지만 그들은 실제로는 ‘입으로 먹이를 주는 행위’(kiss-feeding)를 종종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친밀하기는 하지만 썩 낭만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다른 침팬지의 입에 미리 씹은 음식을 넣어주는 것이었다.
침팬지들의 이런 행위 때문에, 인간이 왜 키스를 하는지 설명해주는 가장 유력한 이론 중 하나가 정립됐다. 연구팀은 키스 행위가 우리 조상들이 감자를 전달해주는(먹여 주는) 원시적인 방법에서 진화했을 수 있다고 밝혔다.
2. 키스는 성호르몬 등 화학물질의 전달 수단일 수도 있다
침팬지·보노보(피그미 침팬지) 등 일부 영장류는 혀를 밀어 넣기도 하는 등 사람처럼 키스를 한다. 하지만 낭만적으로 키스 하는 것은 동물세계에서는 인간이 거의 유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인간의 키스는 짝짓기를 할 의향과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인간들은 침으로 화학적 신호를 보낸다. 키스는 사방에 오줌을 누거나, 잠재적 파트너에게 냄새를 풍기기 위해 바람 방향으로 날아가는 행위와 똑같다고 할 수 있다. 침에는 테스토스테론 등 성 관련 화학물질이 포함돼 있고, 입안의 점막은 이런 물질을 잘 흡수할 수 있다. 사람들이 가볍게 키스하는 것보다, 혀를 깊숙이 넣어 키스하는 것을 왜 더 좋아하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사회과학자들이 2007년 대학생 약 1천명을 대상으로 키스의 선호도를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남성들은 질펀한 키스를 여성들보다 훨씬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화학적 감각의 실마리에 덜 민감한 남성들이 어떤 여성이 짝짓기 상대로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해 다량의 침으로 접촉할 필요가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남성들은 단순히 침 뱉기를 좋아하는 것이 된다.
3. 가끔 우리는 전혀 키스를 하지 않는다
올해 초의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키스를 해본 적이 전혀 없는 대학생들은 독립심과 자존심이 상대적으로 더 낮고, 더 전전긍긍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들은 다른 대학생들보다 덜 건강하지도 않았고, 술을 덜 마시고, 학구열이 더 높았다.
키스는 유대감과 정신적·성적 건강에 좋지만, 이를 애정의 표현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훨씬 더 적다. 2015년 ‘미국 인류학자’(American Anthropologist) 저널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168개 인간문화 가운데 46%의 문화에서만 의도적인 키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키스는 더 이상 보편적이지 않으며, 키스에서 인간의 생물학 또는 생존에 대한 답을 찾길 기대하기는 힘들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키스가 시도해볼만한 흥미 또는 매력도 없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김영섭 기자 edwdkim@naver.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