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 단순 염증?” 헤르페스 증상과 예방법

생식기 부위에 발생하는 궤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의 신호일 수 있다.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SV)에 의해 발생하는 생식기 헤르페스는 성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완치가 어려운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전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국내외 자료를 종합해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본다.
생식기 헤르페스, 얼마나 흔한가?
생식기 헤르페스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성병 중 하나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14세에서 49세 사이 여성 5명 중 1명이 생식기 헤르페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헤르페스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HSV-1과 HSV-2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구강이나 생식기 부위에서 물집과 궤양을 유발한다.
특히 HSV-2는 주로 생식기 부위 감염을 일으키며, 남성보다 여성이 감염될 확률이 높다. 한 연구에 따르면, HSV-2에 감염된 남성이 여성에게 전염시킬 확률은 연간 1117%였으나, 여성이 남성에게 전염시킬 확률은 34%에 그쳤다.
생식기 헤르페스 진단과 치료
헤르페스 진단은 ▲바이러스 배양 검사 ▲PCR 검사 ▲항체 검사 ▲항원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PCR 검사는 소량의 바이러스 DNA도 검출할 수 있어 높은 정확도를 자랑한다. 신속한 진단을 통해 조기에 감염을 확인하면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헤르페스는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항바이러스제를 통해 증상을 억제할 수 있다. 발병을 줄이고 재발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의료진과 상담 후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면역력 관리를 위해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사가 필요하다.
헤르페스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바이러스가 피부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콘돔만으로 완벽한 보호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증상이 있는 동안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구강 헤르페스가 있을 경우 구강 성교를 삼가야 한다.
헤르페스 전염을 방지하려면 ▲개인 위생 철저 ▲수건, 립밤 등 개인 물품 공유 금지 ▲궤양 부위를 만진 후 손 씻기 ▲감염 부위 청결 유지 등이 필요하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 햇빛으로 인한 발병을 예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헤르페스는 한 번 감염되면 몸속에 바이러스가 남아 있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해질 때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재발이 잦다면 항바이러스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해 파트너에게 전염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생식기 궤양이 발생했다면 단순 염증으로 넘기지 말고 신속히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조기 진단과 예방 조치를 통해 생식기 헤르페스의 위험을 줄이고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관리자 soxak@soxak.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