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1년간 쓸 수 있는 피임장치 '질 링' 승인

미국식품의약처(FDA)는 무려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첫 피임장치인 ‘질 링’(Vaginal Ring)을 최근 승인했다. 제품명은 ‘아노베라’(Annovera)다.
예컨대 ‘누바 링’(NuvaRing) 등 다른 피임용 링의 경우, 매월 새것으로 바꿔 넣어야 한다. 하지만 아노베라는 매월 이용자가 직접 끼워 넣고 꺼내는 방식으로, 1년 동안이나 쓸 수 있다. ‘질 링’으로서는 첫 제품이다. 아노베라는 2019년 말 또는 2020년 초나 돼야 구입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값도 아직 미정이다.
아노베라도 다른 피임장치와 마찬가지로 호르몬을 이용한다. 즉 배란을 억제하고 임신의 예방에 도움을 주기 위해, 프로게스틴·에스트로겐 등 여성 호르몬의 결합 성분을 이용한다.
신축성이 뛰어난 도넛 모양의 링은 3주 동안 질 안에 삽입하고 있다가 제거해 씻은 뒤, 1주 동안 케이스에 넣어 보관한다. 이 사이클은 1년 동안 4주마다 한 번 씩 되풀이된다. 매년 13차례의 월경주기(28일)를 이런 식으로 반복하며 링을 이용한다는 뜻이다.
이 ‘질 링’을 개발한 비영리기구 ‘파퓰레이션 카운슬’(Population Council)은 제품 마케팅을 위해 제약회사 ‘테라퓨틱스 엠디’(TherapeuticsMD)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 기구의 한 대변인은 저소득층 여성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방정부 지정 ‘타이틀 엑스’(Title X) 가족계획클리닉에 ‘질 링’을 할인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구에 따르면 ‘질 링’을 이용한 뒤 설문에 응답한 여성 10명 중 약 9명꼴이 이 제품의 피임 용도에 만족한다고 밝혔다. 또 대부분의 임상실험 참가자들이 성적 쾌락 또는 삽입성교의 빈도에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고 답변했다. ‘질 링’ 내부에 투입한 프로제스틴은 새로운 유형으로 ‘세게스테론 아세테이트’(segesterone acetate)라고 한다. 에스트로겐은 다른 피임장치의 경우와 비슷하다. 호르몬을 이용한 다른 피임장치와 마찬가지로 ‘질 링’도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와 각종 성병의 감염을 예방해주지는 않는다.
FDA에 따르면 35세 이상의 흡연 여성은 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이 높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아노베라를 이용해선 안 된다. 또 혈전 또는 관련 질병의 발생 위험이 높은 여성들, 즉 유방암·간 질환·자궁출혈에 걸린 적이 있는 여성들과 C형간염 치료약을 복용하고 있는 여성들도 마찬가지다. 또 ‘질 링’ 아노베라의 부작용은 다른 호르몬 피임장치의 경우와 비슷하다. 주요 부작용은 두통·편두통·구역질·구토·효모 감염·복통·월경통·가슴 압통·불규칙한 출혈·설사·질 가려움증 등이다.
FDA는 아노베라를 이용한 첫 해 임신이 될 확률은 약 2~4%라고 밝혔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에 따르면 다른 피임도구의 임신 확률은 콘돔 약 18%, 먹는 피임약(경구 피임약)·패치·다이아그램 약 6~12%, 자궁내 삽입장치(IUD) 약 1% 등이다.
김영섭 기자 edwdkim@naver.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