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 7가지
사회학자들이 밝혀낸 이혼부부의 공통점
어떤 부부가 이혼의 위기로 치닫고 있다는 사실을 100%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사회학자들은 어떤 부부가 결혼생활에 종지부를 찍을 확률이 높은지 잘 예측할 수 있다. 이런 부부들은 어떤 공통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부부 싸움 방식, 부부 관계를 묘사하는 방식, 교육 수준과 취업 상태 등 공통점이 있다. 다음은 전문가들의 도움을 바탕으로 한 ‘이혼을 예측할 수 있는 7가지 요소’다.
1. 10대 또는 32세 이후에 결혼
결혼의 최적기는 준비가 됐다는 느낌이 들 때, 평생을 함께할 수 있을 것 같은 사람을 발견했을 때다.
미국 유타대 니콜라스 울핑거 교수(사회학)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0대와 30대 중반 이후 결혼하는 부부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 결혼하는 부부보다 이혼할 위험이 더 크다. 특히 10대에 결혼한 부부들의 경우 이혼할 위험이 매우 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또 32세 이후에 결혼할 경우, 이혼할 확률은 매년 약 5%씩 높아진다. 울핑거 교수는 보수적인 가족연구원의 블로그에 “미국인들의 경우 20대 후반이 결혼 적령기인 것 같다”고 썼다.
2015년 ‘경제탐구’(Economic Inquiry) 저널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성애자 부부들의 이혼 확률은 배우자 간의 나이 차가 클수록 높아진다. 또 미국 시사월간지 ‘어틀랜틱’(The Atlantic)에 쓴 저널리스트 메간 가버의 기사에 의하면 부부의 나이 차가 1년 나면 이혼 가능성이 3% 높아진다. 또 이혼 가능성은 5 년 차이가 나면 18%, 10년 차이가 나면 39% 증가한다.
2. 전업 직장인으로 일하지 않는 남편
2016년 ‘미국 사회학 리뷰’에 발표된 하버드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혼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부의 재정상태가 아니라 노동 분업이다.
하버드대 알렉산드라 킬레발트 교수(사회학)는 1975년 이후 시작된 이성애자 결혼 사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편이 전업 직장인이 아닌 부부들이 이듬해 이혼할 확률은 3.3%로 남편이 전업 직장인인 경우(2.5%) 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아내의 고용 상태는 부부의 이혼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킬레발트 교수는 “남성이 생계를 책임진다는 고정관념이 여전히 강하며, 결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3. 고교를 졸업하지 못한 경우
교육 수준이 높은 부부가 이혼할 확률이 상당히 더 낮다. 미국 노동통계국 웹사이트에는 젊은 베이비부머 그룹의 결혼·이혼 패턴을 조사한 결과(1979년)가 올라와 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결혼이 이혼으로 끝날 확률은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가 더 낮다. 고교를 졸업하지 않은 사람들의 결혼 가운데 약 50%는 이혼으로 끝났다. 이에 비해 대학 졸업자들의 결혼 가운데 이혼으로 끝나는 경우는 약 30%에 그쳤다. 교육 수준이 낮으면 소득 수준이 낮고, 살면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겪을 것이라는 예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심리학자 엘리 핑클은 “생활환경에 스트레스가 많고, 직장에 가기 위해 버스를 서너 번 갈아타야 하는 각박한 삶에서 생산적이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꾸리기란 정말 매우 어렵다”고 밝혔다.
4. 파트너를 경멸하는 태도
존 고트맨 워싱턴대 교수(사회학)는 특정 부부관계 행동을 ‘묵시록의 네 기사들’이라고 부른다. 특정 행동이 무서울 정도의 높은 정확도로 이혼을 예측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파트너에 대한 경멸(파트너를 얕잡아 보기), 비난(어떤 행동을 보고 파트너의 성격 헐뜯기), 방어적인 태도(어려운 상황에서 피해자 행세 하기), 의사 방해(대화 차단) 등 4가지다.
고트맨 교수가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로버트 레븐슨 교수(심리학)와 공동으로 미국 중서부 부부 79쌍을 14년 연구한 끝에 내린 결론이다.
5. 신혼부부 같은 지나친 애정
포옹하고, 키스하고, 신혼부부처럼 손을 잡으려 하지 않으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떼어내야 할 정도로 애정이 지나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심리학자 테드 휴스턴 연구팀은 부부 168쌍을 13년 동안 결혼 이후 줄곧 추적관찰하고, 많은 부부를 인터뷰했다. 연구팀은 그 결과를 2001년 ‘대인관계·집단역학’ (Interpersonal Relations and Group Processes) 저널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결혼한 지 7년 이후에 이혼한 부부들은 신혼부부들처럼 거의 아찔할 정도로 애정이 깊었다. 나중에 행복하게 결혼 생활을 꾸린 배우자들보다 약 3분의 1 더 많은 애정을 나타냈다.
저널리스트 아비타 파츠는 ‘사이컬러지 투데이’에 쓴 글에서 “열애의 행복감에 젖어 결혼 생활을 시작한 부부들은 특히 이혼하기 쉽다. 그런 강렬함을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또 “믿건 말건, 이른바 ‘할리우드 로맨스’의 강도가 낮은 상태로 시작한 결혼의 미래가 더 밝다”고 덧붙였다.
6. 갈등 중의 ‘철수’ 행동
2013년 ‘결혼·가족’저널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편들의 ‘철수’ 행동(대화 회피 행동)이 있을 경우 이혼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연구팀이 미시간 주에 사는 신혼 부부 약 350쌍을 인터뷰한 결과다.
한편 2014년 ‘의사소통 논문’(Communication Monographs) 저널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부들이 ‘요구-철수’ (Demand-Withdrawal) 패턴을 보일 경우 부부관계의 행복도는 상대적으로 더 낮다.
‘요구와 철수’ 패턴이란 한 파트너가 상대방을 윽박지르고, 상대방은 침묵(대화 회피)하는 행동 패턴을 말한다.
연구의 주요저자인 폴 슈로트 미국 텍사스크리스천대 교수는 “각 파트너가 상대방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요구-철수 패턴은 깨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개인행동이 문제에 어떤 책임이 있는지 살펴보고, 다른 갈등관리 전략을 사용할 것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7. 부부관계의 부정적인 묘사
존 고트맨 워싱턴대 교수 연구팀은 1992년 ‘구술 역사 인터뷰’라는 절차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또 부부들에게 관계의 서로 다른 측면을 이야기하도록 요청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부부들의 대화를 분석해 어떤 부부들이 이혼으로 치닫고 있는지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신혼부부 95쌍과 ‘구술 역사 인터뷰’를 했다. 2000년 ‘가족 심리학’ 저널에 발표된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부들이 특정 판단기준에 부여한 점수는 결혼의 장단점을 예측하게 해준다.
그 판단기준에는 서로 좋아함(Fondness for each other), 우리성(We-ness), 확장성(Expansiveness), 부정성(Negativity) 등이 포함돼 있다.
우리성은 ‘각 배우자가 결혼의 통일성을 얼마나 많이 강조하는지’를, 확장성은 ‘파트너가 상대방의 말을 얼마나 많이 설명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또 부정성은 ‘결혼에 대한 실망’과 ‘부부가 결혼의 혼돈 상태를 얼마나 많이 묘사할 수 있는지’를 표현한다.
김영섭 기자 edwdkim@naver.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