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영장류 DNA에 박혀있다?(연구)
수컷 개코원숭이, 가임기 암컷 괴롭힐수록 교미 확률↑
성폭력 등 성적인 괴롭힘은 인간의 DNA에 깊숙이 뿌리박혀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개코원숭이(baboon)에 대한 연구 결과 밝혀졌다.
프랑스 툴루즈의 고등과학연구소(IAS)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열한 개코원숭이 수컷은 뚜렷한 이유 없이 암컷을 때리고 심하게 물어뜯어, 피를 흘리게 하고 당혹스럽게 만든다.
그런데, 공격적인 개코원숭이 수컷은 생식능력이 높을 때 성폭력 피해를 입은 암컷과 교미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개코원숭이의 성폭력이 성공을 거둔 셈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 인간의 성폭력이 유전자 깊숙이 내장돼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더 늘었다”고 자평했다. 인간과 개코원숭이는 수천만 년 전에 살았던 같은 조상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장기적인 이성애 관계의 맥락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은 인류 전체에 널리 퍼져 있다. 그런데 인간이 독특하기 때문에 이런 행동을 할까? 아니면 감정이나 도덕의 산물일까? 자녀 교육의 결과이거나, DNA의 깊숙한 곳에서 유래한 것일까?
2014년 발표된 다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적으로 공격적인 침팬지 수컷은 짝짓기 권리를 쉽게 얻을 뿐만 아니라 아빠로서 자손을 낳을 확률이 더 높다. 이 때문에 수컷은 성적으로 공격적인 DNA를 더 널리 퍼뜨릴 것이다.
프랑스 툴루즈 IAS의 앨리스 바니엘 연구팀은 나미비아에 살고 있는 개코원숭이 두 집단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수컷의 성폭력 사례를 많이 목격했다. 가임기의 암컷들은 임신한 암컷 또는 막 출산한 암컷들보다 성폭력을 더 많이 당했다. 가임기 암컷이 입은 상처는 주로 수컷의 공격으로 인한 것이었다.
바이엘 연구원은 “현장에서 개코원숭이를 관찰할 때, 수컷이 도발을 받지 않았는데도 발정기 암컷을 공격하거나 쫓아다닌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수컷들은 발정기의 암컷들과 처음부터 끝까지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고, 강한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했다. 이런 유형을 ‘짝 보호’(mate-guarding)라고 한다.
또한 특정 암컷을 때리고 쫓아다녔던 수컷의 경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가임기에 들어선 그 암컷과 짝지을 확률이 더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를 ‘장기간에 걸친 성적 협박의 한 형태’라고 불렀다.
그것은 명백한 강간은 아니었다. 연구팀은 “암컷이 짝 보호를 받는지 여부는 수컷의 공격 후 5~20분 내에 교미를 할 확률과 관계없었다”고 밝혔다.
이런 행동이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침팬지와 다른 영장류에서 발견된다면, 이는 성폭력이 진화 역사에서 같은 뿌리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바니엘은 “성폭력과 짝짓기가 한꺼번에 이뤄지지 않는 경우, 성적 위협은 신중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띄지 않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성적 위협은 종전 인식과는 달리, 포유류 사회에서도 더 흔할 수 있으며, 상대적 자유를 누리는 일부 종에서도 암컷의 성행위를 제약할 수 있다.
성적 위협에는 또 다른 요인, 즉 몸집도 중요하다. 성적 위협은 침팬지·개코원숭이·인간 등 수컷의 몸집이 암컷보다 더 큰 종에서 훨씬 더 흔히 발생한다. 인간의 가까운 친척인 보노보는 암수 간에 몸집이 차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보노보는 교배에 관한 한, 평등한 것으로 유명하다.
바니엘은 “성생활이 난잡한 영장류에서 암컷의 교미에 대한 결정권을 제한하기 위해, 수컷이 강압적인 전술을 사용한다는 증거가 이번 연구에서 추가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종전에는 침팬지에게서만 보고된 성적 위협이 더 많은 영장류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인간의 성적 위협에 대한 진화론적 기원에 대한 사례를 확충해 준다는 게 연구팀의 결론이다.
바이엘은 “추가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짝짓기 전략이 수컷들 사이에서 공존할 수 있는지, 즉 암컷의 선택과 수컷의 성적 위협이 공존할 수 있는지 규명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 내용은 ‘현대 생물학’(Current Biology)저널에 발표됐다.
김영섭 기자 edwdkim@naver.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