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노보의 사랑
[김원회의 性인류학]
진화론을 믿거나 말거나 많은 사람들은 인간과 가장 흡사한 동물이 침팬지라고 믿고 있다. 그러나 침팬지보다도 인간과 더 비슷한 동물이 있으니 바로 보노보(bonobo)다. 우리와 98.4%의 유전인자를 공유하는 이 동물은 1929년 처음 발견됐을 땐 피그미침팬지라 했지만 그 후 별개의 동물임이 밝혀졌다. 무엇보다도 이 동물이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그들의 독특한 성생활 때문이다. 침팬지는 수컷 중심의 사회를 이루고 있지만 보노보는 신석기시대의 우리처럼 모계사회를 이루고 있다. 사람은 둘 사이의 중간쯤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성에 있어서는 아무래도 수컷이 주도권을 잡고 있기는 하다. 암컷은 발정하면 성기가 부어오르고 붉어지기 때문에 수컷은 이를 놓치지 않고 교미를 하게 되는데, 대부분 우두머리에 해당되는 수컷의 차지다.
이들은 주로 아프리카의 콩고 밀림지대에 산다. 거의 직립에 가까운 생활을 할 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들과 달리 질이 앞쪽으로 많이 이동해 있기 때문에 얼굴을 마주하고 교미를 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보노보는 전쟁이 아니라 사랑을 하는 영장류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유형의 짝짓기 행위를 통해 긴장을 해소하는 이 보노보의 성생활은 매우 흥미롭다. 이들에게는 대부분의 경우 성이 화해와 협력을 위한 도구로 쓰이고 있다. 이들은 먹을 것이 있으면 먹는 일은 잠시 덮어두고 서로의 성기를 어루만져 주거나 상대방의 허벅지에 자신의 성기를 비벼댄다. 이렇게 해서 서로 친밀감을 느끼게 되면 싸울 생각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기가 양보하고 싶어지고 결국 사이좋게 먹을 것을 나눠 먹는다. ‘형님 먼저, 아우 먼저’가 된다.
이들의 교미시간은 겨우 13초가량인데도 그것으로 충분한 친밀감과 애정을 쌓는다. 쾌락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의사소통의 한 방식으로서 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니 서로 접촉을 했다는 데에 의미를 두는지도 모른다. 우리 인간도 한번 생각할 만한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