닮은꼴 커플이 더 행복하다 (연구)
호주의 왕관 앵무새에서부터 아프리카의 열대어인 시클리드 어류에 이르기까지 일부일처제를 유지하는 생물 종은 짝짓기 상대와 용모· 행동이 비슷할 경우 생식 성공률이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한 결과다.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파트너와 모습이 비슷하거나, 유사한 행동을 하면 행복감이 더 커진다. 파트너와의 유사성은 똑같은 목표를 추구하고, 똑같은 가치관·인생관을 즐길 확률을 높여준다.
그렇다면 왜 그럴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심리학과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파트너와의 유사성은 매우 중요하며, 우호성(agreeableness)이라는 특성의 경우 특히 그렇다. 성격 등 요인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일부 연구에서도 파트너와의 유사성은 아침형 인간인지 여부, 정치적 태도의 공유 여부 등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파트너와 얼마나 많은 동질감을 공유하고 있느냐 하는 점이다. 두 파트너 모두 매우 성실할 경우, 두 사람 사이의 유사성이 유익하다는 건 당연하다. 미국 텍사스대 연구팀은 이를 ‘동질감 융합’(identity fusion)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한 파트너가 매우 불성실할 경우, 상대방은 그렇지 않고 더 성실해야만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일종의 ‘유익한 보상효과’다.
암스테르담대 연구팀은 미국의 장기간 결혼 상태를 유지한 커플 수천 쌍의 성격·웰빙·관계 만족도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반적인 웰빙에 단연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개인의 성격이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사람들은 파트너가 상대적으로 더 우호적이고, 더 성실하고, 덜 신경질적인 성격일 때 더 행복하게 느낀다.
그러나 그게 전부는 아니다. 완벽한 유사성(동질성)이 관계에 유익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한 파트너와 똑같은 수준의 외향성은 전반적인 웰빙에 썩 좋지 않다. 또 성실성이 낮은 사람들 사이의 유사성은 양쪽 어디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독일 사회과학원은 약 5천 쌍의 커플을 대상으로 성격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뒤 5년 동안 추적했다. 그 결과, 개방성이라는 특성에서 유사성을 보인 커플들이 헤어지지 않고 함께 지낼 확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폴란드 바르샤바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성들은 파트너와 똑같은 일주기성 인자(chronotype)를 가졌을 경우 더 행복하다. 아침형 인간이든 저녁형 인간이든 파트너와 일치해야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또 성관계를 갖는 시간대에 대한 남녀의 선호가 똑같을 경우 성적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밖에 정치적 태도가 같아야 행복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단순한 규칙은 없다. 하지만 파트너와의 유사성이 행복감과 무관하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은 잘못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김영섭 기자 edwdkim@naver.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