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의 식습관, 자식 건강 좌우한다(연구)

초파리(과일파리) 수컷의 영양을 조절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수컷의 나쁜 식습관과 그 자식들의 낮은 생존율 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shutterstock.com)


아기의 아빠가 될 남성의 성관계 이전의 영양 상태가 신생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신시내티대의 최근 동물실험 결과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성관계를 앞둔 예비 아빠의 식습관이 예비 엄마의 건강한 신생아 출산에 영양 성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파트너의 임신 및 출산을 원하는 남성들은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은 음식을 피하는 게 좋다.

 

연구의 주요저자인 마이클 폴락 신시내티대 교수는 “당초 예상과 달리, 아빠의 식습관과 자식의 건강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깜짝 놀랐다”고 밝혔다. 많은 종에서 임신한 암컷이 많은 보살핌을 받는 등 어미와 자식의 높은 관련성 때문에, 인간 산모의 식습관이 자식에게 큰 영향을 줄 것으로만 생각했으나 뜻밖의 결과가 나왔다는 뜻이다.

 

연구팀이 초파리(과일파리) 수컷의 영양을 조절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수컷의 나쁜 식습관과 그 자식들의 낮은 생존율 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학자들은 인간 유전자의 60%와 인간 질병 유전자의 75% 이상을 공유하는 초파리를 자주 연구한다. 폴락 교수에 따르면 유전학자들은 초파리의 전체 유전자지도를 작성했으며, 150년 이상의 연구 끝에 이 작은 초파리를 좋은 모델 시스템으로 만들었다.

 

폴락 교수 연구팀은 초파리 종에 속하는 노랑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의 암컷과 수컷을 격리시켰다. 이 초파리는 큰 빨간 눈과 높은 번식력으로 유명하다. 초파리 한 마리는 하루 5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2개월 동안의 짧은 일생 동안 모두 약 2,000개의 알을 낳는다.

 

연구팀은 초파리 암컷들에게 똑같은 먹이를 먹였다. 그러나 수컷들에게는 각기 다른 30가지의 효모·설탕을 먹였다.초파리들은 유리 비커 집의 바닥에 깔려있는 한천 혼합물에서 원하는 것을 모두 먹을 수 있었다. 하지만 먹이의 품질은 단백질·탄수화물의 농도와 칼로리가 낮은 것에서 높은 것까지 매우 다양했다.

 

연구팀은 먹이를 엄격하게 먹인 지 17일이 지난 뒤, 초파리 수컷들을 각각 두 마리의 암컷과 개별적·연속적으로 교미시켰다. 암컷들은 모두 똑같은 발효된 옥수수 가루를 먹었다.

 

연구팀 결과에 따르면 영양 상태가 좋은 수컷과 두 번째로 교미한 암컷의 배아가 생존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영향은 첫 번째 교미에서는 덜 분명했다.

 

마찬가지로, 배아 사망률은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은 먹이를 먹은 수컷의 자손이 가장 높았다. 또 칼로리가 가장 높은 먹이를 먹이고, 첫 번째로 교미를 시킨 수컷 초파리와 관련된 배아의 사망률이 약간 더 높았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B’에 실렸다.


김영섭 기자 edwdkim@naver.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Thumb 1755152762.9442604
연관 콘텐츠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정자 통해 아빠 트라우마까지 유전된다(연구)

    아빠들은 생활·식사 습관은 물론, 삶에서 겪은 트라우마(외상)까지 정자를 통해 자녀들에게 물려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대는 어린이의 세포 발달에까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후생유전적 표지자’(epigenetic marker)를 정자가 자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최근 발표했다. 인간과 생쥐에 대한 연구 결과, 정자에 후생유전적 정보가 약 10%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최근, 미국의 남북전쟁 중 북부군의 자녀들은 그들의 아버지들이 전쟁포로 등 잔혹한 상황을 경험했을 경우 더 일찍 죽을 위험성이 더 높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팀의 수잔 스트롬 박사는 ‘히스톤 패키징’(histone packaging)이라고 알려진 정자 내 후생유전적 정보를 테스트했다. 연구팀은 개체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후생유전적 표지자 ‘H3K27me3’를 일단 제거하면, 그 개체가 불임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스트롬 박사는 “이는 정자 속 DNA 패키징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고 밝히고 “정상적인 정자의 특정 후생유전적 표지자를 물려받지 않은 자손은 불임이 된다”고 말했다. 해당 표지자가 자손의 세포 발달 등 과정에 중요하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스트롬 박사는 염색질(chromatin) 패키징이 현재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는 게 우리의 연구 목표라고 말했다. 그녀는 어떤 배세포들이 환경적 요인을 경험하는지, 배세포에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는지, 그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규명하는 연구에 몰두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성폭행 등 각종 트라우마는 한 인간에게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자손에게 전달된다는 점에서 트라우마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보수적인 사람이 배우자감 성적 매력 더 따진다?(연구)

    보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불성실하지만 성적으로 매력 있는 사람을 장기적인 파트너로 적합하다고 여길 확률이 더 높다는 뜻밖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워릭대가 인도·미국 남녀 322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가상적인 파트너에 대한 선호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다. 한 파트너는 성적 매력이 있으나 무책임하고 불성실한 사람으로 예시됐다. 또 한 파트너는 성적 매력은 평균적이나 인간적인 매력이 있고 좋은 부모로서 양육을 책임질 이상적인 배우자감으로 예시됐다. 그 결과, 보수 성향의 사람들은 이상적인 원나잇스탠드의 상대 즉 단기적 파트너와 미래를 약속하길 원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다른 사람들도 이상적인 원나잇스탠드의 상대를 장기적인 파트너로 적합하다고 여길 것으로 믿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또 인도·영국·미국의 남녀 527명에게 이상적인 단기적·장기적 파트너의 특성에 대해 물었다. 연구팀은 파트너의 여러 가지 특성을 살 수 있는 ‘짝짓기 달러’를 준 뒤, 그 특성을 구입하게 했다. 즉 화폐의 형식을 빌어, 참가자들이 좋은 수입·근면성·야망·성공적인 경력·신중성·친절성·타인에 대한 배려·참을성·좋은 체격·좋은 외모·탄탄한 몸매·높은 성욕 등 장단기 배우자의 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게 한 것이다. 그 결과, 보수 성향의 참가자들의 경우 단기적인 파트너와 장기적인 파트너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덜 뚜렷한 경향이 있었다. 즉 보수 성향의 사람들이 택한 단기적인 파트너의 특성은 장기적인 파트너의 특성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진보 성향의 사람들이 택한 단기적인 파트너들은 탄탄한 몸매와 좋은 외모 등 유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 그들이 택한 장기적인 파트너는 성공적인 경력·신중성 등 자녀 양육 및 비용 제공과 관련된 특성을 더 많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주요 저자인 나오미 K. 머글리튼 교수는 “일반적으로 단기적인 파트너로 매력적이고 섹시한 파트너를 선호하는 이유는 건강한 아이를 낳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반면 장기적인 파트너로는 정서적으로 따뜻하고 물질적으로 혜택을 줄 수 있는 파트너를 선택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연한 성관계를 회피하는 보수적인 문화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성적 매력이 있는 파트너를 장기적인 파트너로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자손에 대한 유전적 혜택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내용은 과학학술지 ‘진화와 인간행동’(Evolution and Human Behavior)저널에 발표됐다.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성욕·수면욕, 어느 게 더 강할까?(연구)

    수면 부족으로 피곤한 남성들의 경우 성관계 대신 휴식을 취할 확률이 여성들보다 더 높을 것을 시사하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예일대 마이클 니타바흐 교수팀의 ‘초파리의 수면 습관과 짝짓기’에 관한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초파리가 잠을 자고 짝짓기를 하는 동안의 두뇌 활동을 분석했다. 그 결과 수면이 부족한 초파리 수컷들은 사랑을 구하는 데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암컷들이 짝짓기하는 데는 수면 부족이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팀은 “초파리의 이 같은 행동은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기혼 커플들 사이에서는, 성관계를 거부하는 여성들은 너무 피곤하기 때문에 그런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하지만 밤에 잠을 못 잤을 경우, 열정적인 밤을 보내기보다는 수면을 취할 수 있기를 더 바라는 쪽은 여성이 아닌 남성일 가능성이 크다. 여성들은 졸릴 때도 성관계를 맺을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성관계와 수면에 관한 한, 초파리의 뇌는 인간의 뇌와 비슷하게 작용한다. 연구의 수석저자인 마이클 니타바하 교수는 “유기체는 한 번에 하나의 일만 할 수 있는 게 원칙”이라고 말했다. 성욕과 수면욕이 상충할 때 어느 것을 택할지 결정하는 매커니즘은 인간이든 초파리든 유사하다는 것이다. 그는 또 “구애 행위와 수면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신경연결(neuronal connection) 작용을 이번에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또 성적으로 흥분한 수컷들은 잠을 이루지 못했으나, 암컷들의 경우 잠을 더 많이 잤다. 니타바하 교수는 “암컷들은 아무리 피곤해도 좋은 짝짓기 상대를 결코 포기하지 않는 법”이라고 말했다. 니타바흐 교수는 “어떤 행동이든 간에, 가장 강한 생물학적 충동이 다른 행동을 억제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수컷들의 경우 뇌는 짝짓기 욕구보다 수면 욕구가 더 강하다고 느낀다. 암컷들의 경우는 그 반대다. 종전 연구 결과를 보면, 여성들의 성욕은 잠을 더 오래 잘 수록 더 강해진다. 추가로 늦잠을 잘 때마다 여성들의 기분은 더 좋아진다. 그래서 ‘미인은 잠꾸러기’라는 말이 나왔는지 모른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인기 콘텐츠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남성 성기암 치료법 전기 마련될까

    ‘남성 성기 암’에 대한 정밀 치료법 개발 작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미시간 대학 암 종합센터의 이 연구는 남성 성기암의 치료에 하나의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성 생식기 암은 성기의 내부 조직이나 피부에 종양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 이 암은 95%가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s)으로 분류되는데 이런 유형의 암은 남성들에게 발병하는 암의 17%를 차지한다.성기암에 걸린 환자들이 의존하는 단 하나의 치료법은 수술이다. 그러나 특히 악성의 성기암에는 그마저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연구를 이끄는 스코트 톰린스 교수는 “성기암은 다른 어떤 암보다도 목표를 정확히 겨냥해 치료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폐암, 두부(頭部)암이나 경부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과 유사한 점들을 찾아내고 43건의 성기암 사례를 대상으로 암의 진전단계, 증상 정도, 아류(亞流)형 등에서 다양한 양태를 분석하고 있다. 톰린스 교수는 “종양과 전이 간의 유전적 변형과 변이성에 바탕해 여러 처방을 복합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면서 “이번 연구가 남성 성기암에 대한 치료법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 로드맵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에 발간된 ‘암 연구(Cancer Research)’ 저널에 실렸다.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성관계 전후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 3가지

    9월 4일은 ‘세계 성건강의 날’이다. 산부인과 전문의들의 도움말로 ‘성관계 후 금기사항 3가지’와 ‘성관계 전의 수칙 3가지’를 차례로 소개한다. 1. 비누로 생식기 부위를 씻는 것 성관계 후 씻고 싶을지라도 비누를 사용해선 안 된다. 비누 거품은 생식기 부위를 자극하고 질 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성관계 후에는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다. 레슬리 박사는 “질은 자동세척 기관이며, 매우 부드럽게 다룰 필요가 있다”며 “입에 넣지 않을 물질은 질의 내부 및 주변에도 가까이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질 부위를 문지르고 싶다면 물만 사용해야 한다. 2. 소변보기를 잊는 것 성관계 후에 소변을 봐야 할 이유가 있다. 그렇게 하면 질 안으로 들어왔을지도 모르는 세균(박테리아)을 씻어내는 데 도움이 된다. 산부인과 전문의 로버트 울 박사는 “성관계는 방광염을 일으킬 수 있으니 성관계 후 1시간 이내에 휴식을 취하면서 방광을 비워줘야 한다”고 밝혔다. 3. 뜨거운 욕조에서 긴장을 푸는 것 뜨거운 욕조에서 긴장을 푸는 게 그럴듯하게 들리지만, 질 건강에 아주 좋지 않다. 레슬리 박사는 “외음부가 성적 자극에 반응해 부풀어 오르면 질 입구가 열리기 때문에 감염의 가능성이 훨씬 더 커진다”며 주의를 환기했다. 그녀는 “파트너와 함께 뜨거운 욕조에 함께 있다면, 파트너의 피부와 항문에 있는 세균에 노출되는 셈”이라고 경고했다. 또 물에 지나치게 많이 노출되면 피부의 항균작용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한편 성관계 전에 지켜야 할 수칙도 있다. 1. 면도하지 말 것 음모를 면도하거나 왁싱을 하면 피부 표면에 작은 상처가 생겨 세균이 침투하기가 쉽다. 또 항생제 내성균주와 헤르페스·HPV(인두유종바이러스, 생식기 사마귀) 등에 취약해 질 수 있다. 2. 화장실에 가지 말 것 데이비드 코프먼 박사는 “주문을 외우듯 실행하는 ‘성교 전 소변 누기’는 여성들을 위해 없애야 하는 가장 큰 미신적 오해 중 하나”라고 말했다. 여성이 성교 전에 화장실을 가면, 오히려 요로감염증(UTI)에 걸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굳이 갈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3. 과음하지 말 것 음주 후 성관계는 어색함을 없애주고 성욕을 높이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활력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질의 윤활 작용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아내가 남편보다 수입이 많으면 벌어지는 일(연구)

    아내가 남편보다 돈을 더 많이 벌 경우, 어떤 일이 벌어질까? 미국 통계국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내의 수입이 남편보다 더 많은 경우 두 사람 모두 그 사실을 선뜻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5~54세 미국인 부부 10만 쌍이 2003~2013년 통계국 조사원들에게 밝힌 수입과 국세청에서 확인된 그들의 실제 수입을 비교 분석하는 방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표본은 통계의 정확성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만 추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들이 돈을 더 많이 버는 경우 아내들은 자신들의 수입이 실제보다 1.5% 포인트 더 적은 것처럼 밝혔고, 남편들은 자신들의 수입이 실제보다 2.9%포인트 더 많은 것처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대체적으로 사람들은 남성이 여성보다 돈을 더 많이 버는 게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이 때문에 아내의 수입이 더 많으면 아내도 남편도 불편해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른바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manning up and womaning down)이라는 식의,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고루한 생각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내가 남편보다 수입이 더 많은 경우는 전체 부부의 약 2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1980년대에는 약 18%에 그쳤다. 또 남편보다 수입이 더 많은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의 평균 수입의 2배 이상에 해당하는 돈을 버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는 인구센서스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통계국 이코노미스트인 마르타 머레이-클로스와 미스티 L. 헤게니스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앞서 지난해 미국 여론조사기관인 ‘퓨 리서치센터’가 벌인 설문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의 약 71%는 남성이 좋은 남편이 되려면 가족을 경제적으로 부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변했다. 가족치료사들은 여성들의 수입이 더 많아 남성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여성들이 남편에 대한 존경심을 잃으면 결혼 생활이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또 남성들의 일자리가 없어지면 결혼하는 사람들이 줄어드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라고 이코노미스트들은 분석한다.  한편 미국 시카고대가 인구센서스(1970~2000년)를 이용해 수행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성들이 돈을 더 많이 벌 경우 결혼이 성사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령 결혼을 하더라도 이혼으로 끝날 확률이 훨씬 더 높았다. 또 남편보다 수입이 더 많은 여성들은 자신들의 능력에 못 미치는 직업을 구할 확률이 높고, 집안일과 자녀 양육에 남편보다 더 힘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이 위협 당하는 느낌을 갖지 않게 하기 위한 배려에서다. 연구의 주요 저자인 마리앤느 버틀랜드 교수는 “성 규범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 남편이 겪은 유용성 상실의 일부를 뒤집으려는 보상적 행동이 있게 마련”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또 비교적 최근에 결혼한 경우 돈을 더 많이 버는 여성들이 이혼할 확률은 예전처럼 높지는 않다. 그러나 실업 또는 그에 준하는 상태에 있는 남성들을 여성들이 결혼상대로 고려할 확률은 상대적으로 더 낮으며, 그런 남성과 이혼을 원할 확률은 상대적으로 더 높다.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여성, 남자가 사정할 때 더 강한 오르가슴 느낀다(연구)

    여성들은 남성들이 사정할 때 훨씬 더 짜릿한 오르가슴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럽 성건강연구소 안드레아 버리 박사팀의 최근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성생활이 활발한 이성애자 여성 240명(20~60세)에게 성적 선호에 대한 설문 조사를 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응답 여성의 약 50.43%는 파트너가 성관계 중 사정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고 답변했다. 파트너가 사정하면 성 만족도가 훨씬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또 여성들의 약 18%는 자신들이 오르가슴을 느끼기 전에 파트너가 사정하는 걸 좋아한다고 밝혔다. 약 28%는 파트너의 사정에 앞서 자신들이 오르가슴을 느끼길 선호한다고 답변했으나, 약 53.5%는 순서는 어쨌든 상관없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삽입 후 사정까지 걸리는 시간(IELT), 남성이 사정을 하지 않고 참는 시간 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았다. 그러나 남성의 사정이 여성의 성적 만족에서 하는 역할, 즉 오르가슴에 미치는 영향(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안드레아 버리 박사는 “남성의 사정이 여성들의 성만족도와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 여성들이 어떤 측면을 중시하는지 등 비임상적인 연구는 종전에 거의 없었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많은 여성들은 성관계 파트너가 조루증(사정 지연) 또는 사정 불능 증상을 보일 경우 큰 스트레스를 받으며, 이는 자신이 매력이 없거나 원치 않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녀는 또 “매우 많은 여성들이 파트너가 사정할 때, 파트너의 사정이 강력하고 많은 양의 정액을 내뿜는다고 (주관적으로) 느낄 때 등에 훨씬 더 강렬한 오르가슴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설문조사가 스위스에서 이뤄졌고, 참가자들이 비교적 젊고, 자기보고 형식을 빌었기 때문에 남성의 사정 분량이 구체적이지 않는 등 연구에 일부 한계가 있다고 인정했다. 연구팀은 여성들 중 상당 비율이 남성의 사정에 구역질이 난다고 한 점 등을 더 면밀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The importance of male ejaculation for female sexual satisfaction and orgasm ability)는 ‘성의학’ 저널에 발표됐다.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우정 잘 쌓은 아이, 커서 연애 잘한다(연구)

    청소년 시절 또래 동성 친구와 돈독한 우정을 쌓은 아이들이 성인이 됐을 때 연애를 잘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 등 연구진은 10대들도 사랑에 빠지지만, 어린 시절 풋사랑의 경험이 어른이 됐을 때 성공적인 연애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오히려 동성 친구와 사귀면서 쌓이는 안정감, 친밀감, 소통 능력 등이 성년 이후 연애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밑거름이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13세 청소년 165명이 20대 후반이 될 때까지 관찰하며 인터뷰했다. 친구 및 연애 관계에 관한 당사자의 진술은 물론, 친구들의 평가를 참고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이 27세가 됐을 때 매년 한 번씩 연애의 만족도에 관해 인터뷰했다. 그 결과, 청소년기에 쌓아야 할 인간 관계의 기술(social development task)을 제대로 익힌 아이들이 27~30세가 됐을 때 더 성공적인 연애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3세 때 친구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형성하고, 적절하게 자기 주장을 펼 줄 아는 아이들이 성인이 됐을 때 연애의 만족도가 높았다. △15~16세 때는 절친을 사귀면서도 친구 관계의 폭을 넓힐 줄 아는 아이들이, △16~18세 때 우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아이들이 어른이 됐을 때 자기 연애에 만족했다. 연구에 따르면 이런 요소들은 청소년기의 데이트 빈도, 성관계 여부, 외모 등의 변수보다 성인이 됐을 때 연애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컸다. 레이첼 나르 연구원은 “사춘기의 로맨틱한 관계는 순식간에 지나가는 덧없는 경험”이라며 “향후 어른이 됐을 때 필요한 인간 관계의 기술을 익히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Adolescent Peer Relationship Qualities as Predictors of Long‐Term Romantic Life Satisfaction)는 학술지 ‘아동 발달(Child Development)’에 실렸으며 건강포털 코메디닷컴이 보도했다.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포르노 소비, 성적 폭력성과 관련 없다 (연구)

    포르노를 보는 것은 성적인 공격성을 증가시킬까? 이 질문은 1970년대부터 수많은 연구들의 주제였다. 그런데 최근 포르노 시청과 성폭력 사이에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크리스 퍼거슨 스테톤대 심리학과 교수와 리처드 하틀리 샌 안토니오 텍사스대 형사사법학과장은 음란물과 성적 공격성의 관련성을 조사한 지난 40여 년간의 연구결과 50여 건을 조사했다. 그 결과 포르노와 성폭행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은 설계가 부실하게 되어있는 것을 발견했다. 퍼거슨 교수는 “포르노와 성적인 공격성의 연관성에 관한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있는지 아니면 정치인들이 도덕적인 견해를 과학으로 오인하고 있는지 궁금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전의 연구에서 적대감, 냉담함, 나쁜 행동 등이 성적 공격성을 결정하는 요인이며, 이러한 성격 특성에 비해 포르노가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퍼거슨 교수는 “우리의 연구결과는 정책을 입안하는 사람들이 성적 공격성의 다른 원인을 조사해야 하며 포르노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 과학보다는 방법론적 실수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트라우마, 폭력과 학대’ 저널에 실렸다.

페이스북에서 속삭을 만나보세요
속삭
Original 1755152553.388968
Original 1755152617.027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