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과 갈등 '이렇게' 피하면 절대 안된다(연구)
'위축행동'과 '수동적 부동성'
배우자 등 중요한 사람과 갈등이 있을 때 거북이처럼 잔뜩 움츠러드는가, 아니면 당신이 무엇 때문에 열 받았는지를 파트너가 알아주길 기대하는가?
미국 베일러대학교 케이스 샌퍼드 교수(심리학·신경과학)에 따르면, 관계 갈등에서 벗어날 때 가장 흔하게 나타내는 두 가지 반응 유형이 있다.
그것은 ‘위축행동’(withdrawl)과 상대방이 나를 이해해주길 바라는 기대 심리인 ‘수동적 부동성’(passive immobility)이다, 이 두 가지는 표현 방식도 다르고 이유도 다르지만, 모두 해롭다.
샌퍼드 교수는 “위축행동은 관계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반응”이라며 “이는 공격 받고 있다고 생각할 때 쓰는 방어 전술이며,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수동적 부동성은 관계에서 불안감을 느낄 때 쓰는 전술로, 파트너에게 독심술을 기대하는 심리”라며 “이는 갈등 해소를 특히 어렵게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위축행동처럼 완전히 해롭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샌퍼드 교수에 의하면, 위축행동은 커플의 갈등 해소에 반드시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대방에게 마음 읽기를 기대하는 것은 커플의 갈등 해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된 연구에는 세 가지가 있다.
• 첫째, 부부 또는 동거남녀 2,588명을 대상으로 설문했다. 이들은 하나의 특정 갈등을 표현하고, 위축행동 또는 수동적 부동성이라는 전술을 얼마나 자주 썼는지 평가하고, 관계 만족 지수를 완성했다.
•둘째, 확실한 연인 관계에 있는 성인 223명이 위축행동, 상대방의 마음 읽기와 애착·관심·감정·관계 만족도·의사소통의 기대치를 측정하는 척도를 완성했다.
•셋째, 확실한 연인관계에 있는 대학생 135명이 갈등 관련 글을 쓴 뒤, 갈등을 벗어나기 위한 의사소통·감정 등에 대해 응답했다.
샌퍼드 교수는 “위축행동은 파트너가 비판하거나 불평할 때 위협을 피하는 방법으로 불행감이 크고, 상대방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관계에서 많이 나타난다”고 밝혔다. 그는 “권태를 느끼거나 냉담한 경우 위축행동을 할 확률이 훨씬 더 높으며, 자율성·통제력과 거리를 유지하려는 욕구가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이에 비해, 파트너가 굳이 듣지 않고도 무엇이 잘못됐는지 알아주길 기대하는 사람들은 불안하고, 협박당한다기보다는 무시당한다는 느낌을 갖고 있다.
샌퍼드 교수는 “파트너가 나를 얼마나 사랑하는지에 대한 불안감은 무시당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며 “당사자는 슬프고, 상처받았고, 상처에 취약하다는 느낌을 갖는다”고 분석했다. 또 파트너가 자신의 마음을 읽어주길 바라는 사람들의 경우, 갈등은 부정적인 의사소통과 분노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크고 진퇴양난에 빠진다는 것이다.
샌퍼드 교수는 “갈등 해소를 위해선 건설적이고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나, 종종 행동보다는 말이 앞선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영섭 기자 edwdkim@naver.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