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를 내어주는 풍습
![](/system/photos/2017/1/8/4d7afbfa11ac6c8e832fd046260ff836/edited_1483840808.9036305.jpg?p22523?1483840874062?1483840876132)
신라 21대 왕인 소지마립간은 어느 날 변방을 순찰하다 신하인 파로(波路)의 접대를 받게 된다. 파로는 왕을 집으로 맞아들여 그 잠자리에 자신의 아내를 들여보냈고, 다음날 왕이 떠날 때는 외동딸 벽화(碧花)를 비단으로 감싸 수레에 태워 보냈다. 이목이 두려운 왕은 그녀를 집으로 돌려보냈지만, 그 미모를 잊지 못하여 자주 파로의 집을 찾았고 급기야 후궁(後宮)으로 데려왔다. 그런데 너무 무리해서 두 달 만에 세상을 떠나버렸다고 하는 설도 있다. 왕의 6촌인 지증왕이 뒤를 이었고, 벽화는 그 뒤를 이어 법흥왕이 되는 김원종의 여인이 된다.
일본의 요바이(夜這い)는 원래 밤중에 성교를 목적으로 남의 집 침실에 침입하는 서(西) 일본의 옛 풍습이었는데, 그중에는 길손에게 자신의 아내를 내어주는 것도 포함된다. 이때 손님이 아내를 거절하면 그 여자는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는데, 약 천 년 전쯤 사라진 풍습이라고 한다. 그러고 보면 단순히 성폭행을 목적으로 남의 집에 침입하는 것이 아닌듯하며 오히려 우리네 ‘보쌈’의 일본식 버전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게 한다.
![](/system/photos/2017/1/8/297c2d739f7ed0b63c205ac724d223bb/edited_1483841137.0904505.jpg?p22524?1483841236903?1483841238988)
‘바렌’이란 영화에서 '이누이트' 에스키모로 나온 앤서니 퀸은 자신의 아내를 선교사에게 대접했는데도 거절당하자 화가 치솟아 ‘아내는 늘 새롭다’며 그를 죽인다. 에스키모 이외에도 인도의 토다족, 시베리아의 척치족, 고대 게르만 민족에게도 이런 풍습이 있었다고 하는데 매우 희귀한 경우들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