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투의 화신 헤라 (3)

헤라의 질투, 그 최대 피해자 헤라클레스

 

그리스 신화에는 헤라 여신이 남편인 제우스를 무척 사랑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직접적인 이야기는 없다. 남편에 대한 헤라 여신의 사랑은 칼리스토나 이오처럼 남편이 한눈을 판 대상이나, 남편과 그들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에게 그녀가 가한 보복의 정도로 가늠할 수 있을 뿐이다. 제우스가 한눈을 팔아 낳은 자식들 중 헤라가 가장 미워한 인물은 바로 영웅 헤라클레스(Herakles)였다.

 

제우스는 자신을 대신해 인간을 위해 큰일을 해낼 영웅을 하나 낳을 결심을 하고 이름도 미리 ‘헤라클레스’라고 지어두었다. 헤라클레스는 ‘헤라의 영광을 위하여’라는 뜻. 제우스는 그렇게 해서라도 아들을 헤라의 질투로부터 보호해주고 싶었던 모양이다. 하지만 제우스의 의도와는 달리 헤라는 헤라클레스를 끈질기게 괴롭혔다.

 

헤라클레스가 암피트리온(Amphytrion)의 아내 알크메네(Alkmene)의 몸을 빌려 태어날 때가 되었다. 제우스는 신들을 모아놓고 “앞으로 암피트리온이 속한 페르세우스 가문에서 제일 먼저 태어나는 아이가 미케네의 왕이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질투의 화신 헤라가 가만 두고 볼 리가 없었다. 그녀는 제우스의 약속을 스틱스 강에 대고 맹세하게 한 다음, 알크메네에게 해산의 여신을 보내지 않고 헤라클레스의 탄생을 지연시켰다. 그 사이 또 다른 페르세우스의 가문에 속하는 스테넬로스(Sthenelos)의 집에 해산의 여신을 먼저 보내 잉태된 지 일곱 달밖에 되지 않은 에우리스테우스(Eurysteus)가 태어나게 만들었다.

 

제우스는 ‘아차’ 싶었다. 하지만 이미 스틱스 강에 대고 맹세한 터라 에우리스테우스를 미케네의 왕으로 만들어주지 않을 수 없었다. 스틱스 강은 죽은 혼령은 꼭 건너야 하는 지하세계를 흐르는 강. 그곳에 대고 한 번 맹세를 하면 신이든 인간이든 꼭 실행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헤라클레스는 태어날 때부터 헤라의 질투의 표적이 된 것이다.

 

헤라클레스가 태어나자, 그에 대한 헤라의 박해는 더 심해졌다. 헤라클레스가 생후 8개월 되었을 때였다. 그에게는 이피클레스(Iphikles)라는 쌍둥이 동생이 있었다. 두 아이는 요람에서 장난을 치며 놀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요람에 독사 두 마리가 나타나 똬리를 틀며 그들을 공격했다. 바로 헤라가 두 아이를 죽이기 위해 몰래 집어넣은 독사들이었다. 이피클레스는 두려움에 큰 소리로 울기만 했지만, 헤라클레스는 놀라는 기색 없이 고사리 같은 양손으로 뱀의 목을 졸라 죽였다.


두 마리 뱀을 목졸라 죽이는 어린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의 어린시절


헤라의 질투 덕분에 생긴 은하수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밤하늘에 아름다운 은하수가 생긴 것도 헤라의 질투 덕분이다. 제우스는 헤라클레스를 신으로 만들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렸을 때 헤라의 젖을 맛보아야 했다. 기회를 노리던 제우스는 어느 날 헤라가 깊이 잠이 든 것을 확인하고 어린 헤라클레스를 데려와 몰래 젖을 물렸다. 그런데 젖을 빨던 헤라클레스는 실수로 그만 헤라의 살을 깨물고 말았다. 잠에서 깨어난 헤라가 화들짝 놀라며 헤라클레스를 뿌리치자 그녀의 가슴에서 젖이 뿜어 나와 하늘에 뿌려졌다. 그러자 하늘에 하얀 길이 아름답게 펼쳐지면서 은하수가 되었다. 그래서 은하수는 영어로 우유길, 즉 milky way라고 부른다.


은하수의 기원

 

은하수의 탄생


헤라의 분노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장성한 헤라클레스가 테베를 괴롭히던 이웃나라 오르코메노스(Orchomenos)를 응징한 적이 있었다. 테베로 조공을 받으러 온 오르코메노스의 사신들을 혼내 쫓아버린 것이다. 이어 보복하려고 테베로 쳐들어온 오르코메노스의 군사들도 단숨에 무찔렀다. 헤라클레스는 강화조약을 맺어 해마다 오르코메노스에 바쳐온 조공의 두 배를 받아냈다.

 

테베의 왕 크레온(Kreon)은 보답으로 헤라클레스에게 공주 메가라(Megara)를 아내로 주었다. 헤라클레스는 그녀와의 사이에 아들 둘을 낳고 한동안 행복했다. 헤라가 그런 헤라클레스를 놔둘 리 없었다. 여신은 그에게 다시 광기를 몰아넣었다. 그러자 헤라클레스의 눈에 갑자기 아들들은 하이에나로, 아내는 암사자로 보이는 게 아닌가. 결국 헤라클레스는 그들을 제 손으로 목 졸라 죽이고 말았다. 심지어 그를 말리던 아버지 암피트리온도 공격했다고 한다.

 

얼마 후 제 정신으로 돌아온 헤라클레스는 잘못을 깊이 뉘우쳤다. 그는 곧장 델포이의 아폴론 신탁소를 찾아가 엄청난 살인죄를 씻을 방도를 물었다. 그러자 피티아(Phytia) 여사제가 “미케네의 에우리스테우스 왕을 찾아가 그가 시키는 일을 하라”는 신탁을 전했다. 에우리스테우스 왕은 알다시피 헤라 덕택으로 헤라클레스 대신 왕이 된 인물. 일곱 달 만에 엉겁결에 태어난 그는 미숙아였으며 천성이 소심하고 겁이 많았다. 그런 그를 헤라클레스가 찾아왔다. 그러자 헤라의 사주를 받은 그는 보통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해낼 수 없는 일들을 헤라클레스에게 시켰다. 그게 바로 유명한 ‘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이다.

 

12가지 과업을 마친 후에도 헤라클레스는 수많은 시련을 겪고 결국 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간다. 그러자 헤라의 태도가 완전히 달라진다. 죽도록 미워하던 헤라클레스에게 자신과 제우스 사이에서 태어난 소중한 딸이자 청춘의 여신이었던 헤베(Hebe)를 아내로 주었기 때문이다. 어떤 신화학자에 의하면, 헤라가 헤라클레스에게 딸을 준 것은 그가 한때 자신을 능욕하려 했던 기간테스(거인족) 포르피리온(Porphyrion)을 죽여 자신을 구해주었기 때문이다.

자, 헤라의 강한 질투심을 보여주는 에피소드 두 개를 더 들어보자.

(그림 5), (그림 6), (그림 7), (그림 8)

독수리의 모습을 한 제우스와 헤베

 

제우스의 독수리에게 물을 주는 헤베


청춘의 여신 헤베와 제우스의 독수리


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는 헤라클레스


괴물과 두루미가 된 라미아와 게라나

 

제우스는 한때 포세이돈과 리비아(Lybia)의 딸 라미아(Lamia)를 사랑했다. 그 소문을 듣고 헤라는 제우스의 소생이었던 아들 하나를 포함해서 라미아의 자식들을 모두 죽인 뒤 그녀를 다른 사람의 자식들을 사냥해 잡아먹는 괴물로 만들어버렸다. 다른 설에 의하면, 헤라가 그녀의 자식들을 훔쳐가자 라미아는 슬픔과 분노에 빠진 나머지 다른 사람의 자식들을 사냥해 잡아먹다가 결국 계속된 악행으로 괴물로 변신하고 말았다.

 

이때 라미아가 변신한 괴물의 모습은 머리가 뱀의 머리를 했거나 허리 아래가 뱀의 꼬리를 한 것으로 묘사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헤라는 라미아의 자식들을 모두 죽인 뒤 그녀에게 눈이 감기지 않는 형벌을 가했다. 그러자 잠을 잘 수 없게 된 라미아는 밤낮으로 죽은 자식들의 환영에 시달리게 된다. 이에 제우스는 라미아가 밤에라도 편안히 휴식하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눈을 자유자재로 빼었다가 다시 끼워 넣을 수 있는 능력을 주었다.

 

또한 피그미족의 여왕이었던 게라나(Gerana)는 언젠가 자신이 헤라보다 더 아름답다고 오만을 떨었다. 이에 분노한 헤라는 그녀를 두루미로 변신시킨 다음 두루미가 피그미족을 만날 때마다 싸움을 벌이도록 저주를 걸었다. 그래서 지금도 두루미는 상공을 날다가 피그미족이 보이기만 하면 무턱대고 공격을 퍼붓는다고 한다.


라미아가 자신의 오른 팔에 올려 있는 뱀 한마리를 쳐다보고있다.

 

라미아의 무릎 위에 뱀껍질이 놓여있다


‘남편에 목숨 거는’ 헤라 유형의 여자, 그녀의 사랑법

 

헤라의 사랑은 오로지 일편단심 남편 제우스에게로만 향해 있었다. 그래서 헤라의 질투는 결국 남편 제우스에 대한 그녀만의 너무도 지독한 사랑의 방식이었다. 헤라 유형의 여자에게 인생 최고의 목표는 영국작가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에 등장하는 베넷 부인(Mrs. Bennet)이 생각하는 것처럼 ‘든든한 남편을 만나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누리는 것’이다. 그래서 헤라 유형의 여자는 한 가정을 꾸려서 아내와 가족을 먹여 살릴 능력이 있는 남자에게 더욱 마음이 끌릴 수 있다.

 

헤라 유형의 여자는 고등학교 시절 벌써 남편 같은 남자 친구를 만날 가능성이 있다. 그녀는 남자친구와 커플링을 끼고 커플티를 입고 다니면서 스스럼없이 친밀도를 과시하면서 TV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처럼 부부생활에 가까운 경험을 미리 할 수도 있다. 헤라 유형의 여자는 이때 사귄 남자친구를 장래의 남편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녀의 의도는 대부분 빗나갈 수 있다. 이어 대학에 들어간 그녀의 관심도 이상적인 남편감을 고르는 데 쏠려있을 수 있다.


헤라


 

헤라 유형의 여자가 직장생활을 한다면? 일단 성실하며 동료나 상사들에게 예의바르고 공손하다. 자신이 맡은 일을 항상 깔끔하게 처리하고 추진력도 강하다. 그래서 동료나 상사로부터 인정받아 남들보다 빨리 승진을 하기도 한다. 무슨 일을 해도 특유의 성실성 때문에 출중한 능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가정해보자. 대학 졸업을 앞둔 헤라 유형의 여자가 생활비 포함 전액 장학금을 받는 조건의 유학을 앞둔 상황을. 하지만 앞으로 결혼할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면 그녀에게 이 모든 것은 별다른 의미가 없다. 그녀는 좋은 남편이 나타난다면 모든 것을 포기하고 어디든지 그를 따라갈 의지가 있다. 그녀의 진짜 직장생활은 남편과 함께 꾸리는 결혼생활이기 때문이다.

 

헤라 유형의 여자에게 남편의 기쁨은 곧 자신의 기쁨이다. 남편의 성공은 곧 자신의 성공이다. 그녀는 남편과 함께 있는 것이 마냥 좋고 무엇이든지 남편과 함께하는 것이 즐겁다. 심지어 자식들보다도 남편이 우선이다. 그런 만큼 그녀는 남편에게 종속되어 있을 수 있다. 남편이 자기보다 일찍 죽으면 정체성을 잃고 깊은 혼란에 빠질 수 있다. 최악의 경우 남편을 따라 목숨을 끊거나 햄릿의 어머니 거트루드(Gertrude)처럼 즉시 재혼할 수도 있다. 그녀에게는 남편이라는 ‘핵우산’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제우스와 헤라


사랑과 불안은 같은 뿌리에서 나온다. 헤라 유형의 여자는 남편이 자신에게 조금만 소홀히 하는 낌새가 보여도 자신을 떠나버릴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런 불안은 근거 없는 경우가 많지만, 그 불안은 심하면 우울증을 거쳐 의부증으로 번질 수 있다. 그래서 그녀는 남편으로부터 정신적으로 독립하는 일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남편에게 모든 것을 걸면 안 된다. 남편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해도 안 된다. 남편은 수많은 남자 중 하나일 뿐이며, 남편보다 훌륭한 남자도 많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1996년에 상영된 할리우드영화 <조강지처클럽>을 참고할 만하다. 헤라 유형의 여자가 가야할 이상적인 방향을 잘 보여주니까. 이 영화의 주인공인 브렌다, 앨리스, 애니는 대학시절 단짝친구들이다. 그들은 졸업 후 생활에 바빠 만나지 못하다가 또 다른 단짝친구 신시아의 자살을 계기로 오랜만에 마주한다. 그간의 사정을 이야기하는 중에 그들은 모두 남편을 젊은 여자들에게 빼앗기고도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한다.

 

‘서로 돕고 살라’는 신시아의 유서를 읽고 나서 그들은 결심한다. 더 이상 남편에게 끌려 다니는 수동적인 삶을 살지 않기로 말이다. 비로소 그들은 '조강지처클럽(The First Wives Club)'이라는 조직을 결성하고 힘을 합해 남편들에게 복수하기로 다짐한다. 그들은 드디어 남편들을 혼쭐내주고 가정으로 돌아오게 만든다. 2007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조강지처클럽>도 이 영화에서 영감을 받은 듯 무대만 우리나라로 바뀌었을 뿐 내용은 거의 같다.

 

그리스 신화에서 헤라는 제우스와 결혼한 후 한 번도 한 눈을 판 적이 없다. 그녀는 그야말로 정절과 지조의 화신이라고 할만하다. 헤라 유형의 여자들은 눈이 오나 비가 오나 검은 머리 파뿌리 되도록 남편과 한 평생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그녀는 남편이 생애 첫 남자이자 마지막 남자일 수 있다. 그래서 그녀의 사전에는 이혼이라는 단어는 없다. 어떤 경우에도 자진해서 이혼하지 않는다. 이런 헤라 유형의 여자를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척 마음에 들어 한 모양이다.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헤라의 이름을 따고 있으니.

  • Blank 2f561b02a49376e3679acd5975e3790abdff09ecbadfa1e1858c7ba26e3ffcef

    profile

    연세대 독문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부르크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연세대에서 ‘릴케의 <말테의 수기>와 대도시 문제’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신화, 세상에 답하다』, 『신화, 인간을 말하다』, 『신들의 전쟁』이 있다. 현재 여러 대학과 기업체, 지역 도서관, 병원 등에서 신화를 소재로 인문학 특강을 하고 있다.
Thumb 1593591084.1134956
페이스북에서 속삭을 만나보세요
속삭
Original 1628810363.5313268
Original 1628810343.8052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