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성관계, 정말로 괜찮을까?
출혈·조산 이력 등은 주의 필요…체위 조정과 소통으로 불편 줄일 수 있어

임신 중 성관계를 둘러싼 고민은 많은 부부가 공통적으로 갖는 질문이다. 특히 초기 유산 가능성이나 태아의 안전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성생활을 중단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산부인과 전문의들은 합병증이 없는 한 임신 중에도 성관계는 안전하며, 부부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한다.
1일 미국 클리블랜드클리닉 산부인과 전문의 올루와토신 고제 박사는 “임신 중 성관계는 의료진이 특별히 금지하지 않는 한 출산 직전까지 가능하다”며 “다만 임신 초기 출혈이나 통증이 있다면 초음파 검사 등으로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 뒤 성생활을 재개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고제 박사에 따르면 임신 중 성관계는 신체적·정신적 측면에서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성관계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해 기분을 개선하고 배우자와의 친밀감을 높인다. 또한 오르가즘 이후 찾아오는 이완 상태가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 임신 기간 흔히 겪는 불면을 완화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일부 여성은 혈류 증가로 성적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보고하기도 한다.
그러나 모든 상황에서 성관계가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원인 모를 질 출혈이나 양수 누출, 자궁경부 조기 개대, 조산 이력, 전치태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성관계를 피해야 한다. 성병 감염 역시 금기 사항이다. 고제 박사는 “이런 경우에는 태아와 임산부 모두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진 지시에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신 중 성관계가 유산을 유발한다는 우려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 태아는 강한 자궁 근육과 양수에 의해 보호되며, 성관계가 직접적인 해를 주지 않는다. 다만 성관계 이후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자궁경부와 질의 혈류 증가로 인한 정상적인 반응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혈이 지속되면 의료진 상담을 받아야 한다.
성관계 시 불편함이나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임신으로 인해 황체낭종, 치질, 골반 울혈 증후군, 인대 통증, 질염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럴 땐 윤활제를 사용하거나 베개로 자세를 조정하고, 다양한 체위를 시도하며 파트너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특히 남성 상위 체위는 임신 후기로 갈수록 불편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옆으로 누운 자세, 여성 상위, 후배위 등이 권장된다.
성욕 변화 역시 임신 중 흔히 나타난다. 호르몬 변화와 혈류 증가로 성감대가 민감해져 성욕이 증가하는 여성도 있지만, 피로감, 신체적 불편함, 질 건조, 감정적 변화 등으로 성욕이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개인차가 크며 파트너와의 대화를 통해 서로의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부에서는 임신 말기 성관계가 진통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정액 속 프로스타글란딘 성분이 자궁 수축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론은 있지만, 현재까지 성관계가 조기 진통을 일으킨다는 확실한 연구 결과는 없다. 고제 박사는 “조산 위험이 없는 경우라면 출산 직전까지도 성관계는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임신 중 성생활이 반드시 성관계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다고 조언한다. 오럴 섹스, 손으로의 자극, 마사지, 포옹 등 다양한 방식으로 친밀감을 이어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임신부의 편안함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다.
결국 임신 중 성관계는 의료진이 특별히 금지하지 않는 한 대체로 안전하다. 다만 임신부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불안하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면 주저하지 말고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주원 soxak@soxak.com
저작권ⓒ '건강한 성, 솔직한 사랑' 속삭닷컴(http://soxak.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